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0124_[과제] 마이리얼트립 UXUI 분석 2

UXUI, figma 이론

by Yekyoung 2024. 1. 24. 16:34

본문

팀플 회의

팀원들 각자 맡은 Flow를 분석하여 회의를 진행했고,

마이리얼트립 서비스 분석 진행 후 공유하기로 했다.


서비스 분석

1. 마이리얼트립의 핵심 기능은 무엇인가?

1) 그 서비스를 쓰면 뭘 얻을 수 있나?

: 여행 관련 예매(항공, 숙박, 투어 등), 커뮤니티

 

2) 어떤 단계를 거쳐서 그걸 얻을 있나?

  • 항공: 여행지, 여행 일정 입력 > 가격 비교 > 예매
  • 숙박: 여행지, 여행 일정 입력 > 숙소 탐색 > 예약
  • 투어: 관심 투어 티켓 탐색 > 예매

2. 경쟁업체 파악하기, 지향점

1) 경쟁 업체

국내 1위 업체는 마이리얼트립이며, 경쟁사로는 트리플, 트립어드바이저, 트립닷컴, 아고다, 하나투어 등이 있다.

 

2) 여행 플랫폼 시장의 고객 경험 설계

[트리플]
: 고객의 여행 경험을 3단계 (여행 전·여행 중·여행 후)로 나누고, 각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

  • 여행 전: '상품'보다 '정보'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행 일정을 고객이 스스로 짜는 기능 제공, 여행지 별로 '여행 매거진', 또는 '가이드북'의 형태로 여행지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 제공
  • 여행 중: 숙소, 관광, 맛집별 여행 객들이 남긴 리뷰트리플에서 사전에 검수한 검증된 여행 정보 제공
  • 여행 후: 여행지의 숙소, 관광, 맛집 등 여행 코스 속에서 겪었던 경험들을 앱에 남기면 포인트를 제공하는 '여행자 클럽', 과거 여행 기록(일정)을 한눈에 볼 수 있는 '라운지' 기능

> 결론적으로, 트리플은 기업이 고객 입장에서 보여주고 싶은 정보가 아니라, 스스로 여행을 설계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 기능들을 추가하며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있다. 

 

3) 여행 플랫폼 공통적 지향점

: 현재 여행 플랫폼 시장은 정보 비대칭성을 해결하며, 고객들에게 여행 패키지라는 이름으로 고객이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에 재미를 주고자 한다.

 

4) 어떤 신기술들을 채택하고 있는지

  • 항공권, 숙박 등 정보는 기존 여행 커머스의 정보를 자체 알고리즘을 기반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.
  • 앱 내 번역기능 탑재하여, 관광지와 맛집 같은 주요 스팟의 경우 '현지에서 길묻기'기능을 통해 현지 언어로 번역된 주소로 직접 물어볼 수 있다.
  • 정밀한 위치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큐레이션 서비스, 빅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서비스
  • 챗봇 형식으로 AI에게 질문 후 맞춤 추천 받음

3. 여행 앱에 주로 쓰이는 핵심 UX기획 / UI 설계 패턴

  • 이미지 위주의 화면 구성(후킹하게 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중요함)

좌측부터 마이리얼트립, 트립닷컴, 트리플

 

  • 추천 상품을 통해 탐색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

마이리얼트립

  • 현 위치 기반 추천 기능(여행 갔을 때, 계획했던 여행 일정이 취소되면 빠르게 다른 일정 잡아야 하는데, 이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음)

좌측부터 마이리얼트립, 트립닷컴

 

  • 태그를 활용한 탐색 연결 (# 태그 기능을 통해 계속 검색 및 탐색하며 둘러볼 수 있도록 유도)

트리플 (태그 활용 검색)

  • 다른 사람의 여행 리뷰가 중요하게 여겨짐(홈 화면에 배치하고, 탭을 아예 따로 두기도 하고, 나도 리뷰 쓰게 유도)

좌측부터 트립닷컴(홈화면), 마이리얼트립(커뮤니티탭), 트리플(내 여행 홈)

[출처]

https://brunch.co.kr/@dmone/32

 

나만의 여행 가이드북 '트리플(TRIPLE)' 분석

[코드스테이츠 PMB 16기] 주간 과제 ① | ✔ 들어가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조금씩 완화되면서, 언론에서는 여행이나 명품, 요식업 등 코로나로 인해 억눌렸던 산업들의 폭발적인 매출 성장에 대해

brunch.co.kr

 

 

 

 

관련글 더보기